건강/침과뜸

특정혈

허브파파 2023. 11. 9.

1. 원낙극모혈(주요특정혈)

 

구분 원혈 낙혈 극혈 모혈 배유혈
수태폐경 3 열결 공최 중부 폐유
명대장경 합곡4 편력 온유 천추() 대장유
명위경 충양4 풍륭 양구 중완() 위유
족태비경 3 공손/대포 지기 장문() 비유
수소심경 신문3 통리 음극 거궐() 심유
수태소장경 완골4 지정 양로 관원() 소장유
족태방광경 경골4 비양 금문 중극() 방광유
족소신경 3 대종 수천 경문() 신유
수궐심포경 3 내관 극문 전중() 궐음유
수소삼초경 양지4 외관 회종 석문() 삼초유
족소담경 구허5 광명 외구 일월 담유
족궐간경 3 여구 중도 기문(期門) 간유
임맥   구미      
독맥   장강      
대락   대포      
 
 * 대포는 전신원혈(大絡, 구미와 장강)/만성병은 표리관계의 낙혈로 치료




 
  • 원혈 : 원기가 드나드는
  • 낙혈 : 15낙맥(14경맥 각각에 낙맥 + 비의 대락) 본경에서 갈라져 나오는 . 기혈이 많이 멈추는 . 만성병에 흔히 사용.
  • 극혈 : 응급/급성병 치료
  • 모혈 : 장부의 기가 흉복부의 특정부의에 모여있는 . 음기혈의 모이는 (앞에만 있다)->사기 침입 많다
  • 배유혈 : 양기혈이 모이는 (뒤에만 있다)

1)원혈 (각 경의 원혈, 낙혈명을 짝지어 암기하기)

장부의 원기가 지나가고 머무는 혈. 맥기의 성쇠, 장부의 허실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원혈은 생명력과 활기를 돋우는 삼초의 기가 각경에 나타나는 곳이다

오장육부의 병은 모두 그 경의 원혈을 취한다고 했다

 

脈 (경맥) 原穴(원혈) 絡穴(낙혈) 낙혈 위치
手太肺經 淵(태연)3 列缺(열결)7 열결7(낙혈, 팔맥교회혈-임맥, 사총혈-두항부) : 태연상 1.5촌으로 요골경상돌기 후함중 (관구맥 부위)
手陽明大腸經 合谷(합곡)4 偏歷(편력)6 편력-양계 3/12
足陽明胃經 衝陽(충양)4 豊隆(풍륭)6 충륭-외과첨 8/16 경골릉 후방 2,  조구 후방 1
足太脾經 白(태백)3 公孫(공손)4 공손4(낙혈, 8-충맥) : 무지 내측 중족골 전함중 적백육제
手少心經 神門(신문)3 通里(통리)5 신문 1.0 (영도,통리,음극,신문)
手太陽小腸經 腕骨(완골)4 支正(지정)7 지정-양곡위5/12,척측수근신근의 척측연
足太陽膀胱經 京骨(경골)4 飛揚(비양)10 경골-5지외측 중족골저 전함중 적백육제
비양 -승산 외하방 1, 곤륜 7/16
足少腎經 谿(태계)3 大鍾(대종)4 대종4(낙혈) : 태계 후하방 0.5
手厥心包經 陵(대릉)3 內關(내관)4 내과-완횡문 2/12
手少陽三焦經 陽池(양지)4 外關(외관)5 외관-양지 2
足少陽膽經 丘墟(구허)5 光明(광명)8 광명-외과첨 5/16. 비골전연
足厥肝經 衝(태충)3 蠡溝(여구)5 여구-내과첨 5/15 경골뼈위
任脈   鳩尾(구미) 제중위 7, 기골 아래 1
督脈   長强(장강)  
脾 大絡   大包(대포)  

2)낙혈 (15낙혈)

십이경맥은 각각 표리로 분류되어 있는데 표,리양경을 연결하는 것을 낙맥이라 한다.

예를 들면 수태음폐경과 수양명대장경이 연결하는 경우 폐경의 별낙인 열결과 대장경의 별낙인 편력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과 같이 각 경맥으로 부터 분지횡행하여 표리관계에 있는 두 경맥을 맺어준다.

 

그렇다면 경혈의 수는 십이경맥과 같은 십이개가 되야하는데 경혈의 수가 십오개가 된 것은 양락, 음락, 비의 대락의 세 개가 있는 까닭이다.

양락이란 양경맥을 하나의 계통에 통합하는 낙맥으로 양교맥의 낙혈이고,

음락은 음경락을 하나의 계통으로 종합하는 낙맥으로서 음교맥의 낙혈이다.

 

비의 대락이란 비가 영양분을 보급분배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경맥으로 비경의 또 하나의 낙혈이다. 이와같이 하여 십오낙혈이 되었다.

 

낙혈의 활용에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연계되는 양경낙간을 조정하는 목적으로 쓰이고, 또 하나는 경맥의 병을 치료허는데 쓰인다.

경낙의 명칭과 주치하는 병증을 허실로 나누어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15낙혈 경맥 실증 허증
1 열결 폐경 수장(손바닥) 요측발열 흠신(하품), 빈뇨, 유뇨
2 공손 비경 복통 (장통(腸痛)) 복창(鼓脹)
3 여구 간경 음경 이상발기(실증) 음부소양
4 태종 신경 요빈류 요통
5 통리 심경 흉구창민(비둘기 가슴) 실음(목소리가 나옴)
6 내관 심포경 흉구동통(심부 통증) 조잡(유문부 복통)
7 편력 대장경 우치, 이롱 (충치, 난청) 치조농루, 흉중질색
8 풍륭 위경 정신실상 (정신분열, 전간) 소퇴근육위축/하지운동마비
9 광명 담경 혼권(정신 차리는 ) 하지탄탄
10 비양 방광경 비색, 두통, 배통 비출혈
11 지정 소장경 관절이완, 상지탄탄 피부췌우(꺼칠꺼칠)
12 외관 삼초경 주관절구련(팔꿈치 경련) 주관절굴곡불능(팔꿈치 운동마비)
13 구미 임맥 복부 피부 동통 복부 피부 소양
14 장강 독맥 항배강직 두혼(머리가 혼란하다)
15 대포 비대락 신체동통 전신 관절이완

 

 

3)극혈 (16극혈) (각 경의 극혈명 암기하기)

극은 간극, 틈을 뜻하는데 

뼈와 살 사이에 있으면서

기혈이 깊게 모이는 곳으로

안압하여 허실을 진단할 수 있고 

급성병으로 기가 응어리져 치료 효과가 극히 빠르고 크다.

본치법, 표치법 에도 활용되며 수와 족의 극혈 2혈을 한조로 이용하기도 한다..

주로 급성 병증의 치료에 사용된다.

(硬結  피부,피하조직, 근육등에 쌀알크기에서 손가락크기로 단단하다)

 

극혈 :  기혈이 깊게 모인는 곳으로 급성병을 주치하고 모두 16 있다.
(
극혈은 12정경맥과 기경8맥 중의 음유맥, 양유맥, 음교맥, 양교맥에 각각 1혈씩 있다 )

 經脈(경맥) 郄穴(극혈)  주치 / 혈위
 手太陰肺經 孔最(공최)  각혈(기침),  치질
척택과 태연의 연결선에서 척택하 5, 태연상7
 手陽明大腸經 溫溜(온류)  풍사,  치통
양계 5/12
 足陽明胃經 梁丘(양구)  위통(위경련, 위카타르), 설사
슬개골 외상연 2,  혈해와 슬개골 넓이로 마주하는
 足太陰脾經 地機(지기)  급성 카타르(염증),  수종
내과첨 10/15, 슬중 5. 경골 내측 후연. 당뇨환자 필수혈
 手少陰心經 陰極(음극)  심통,  협심증,  전간(간질)
신문 0.5
 手太陽小腸經 養老(양노)  목현(目眩),  이명, 요통
손바닥을 가슴에 향하고 척골경상돌기 요측 오목한
 足太陽膀胱經 金門(금문)  비장근 경련(복통),  소아경기, 하지마비
종골 외측 함중 ( 옆쪽)
 足少陰腎經 水泉(수천)  월경통,  월경곤란,  자궁탈출, 요통
태계 1
 手厥陰心包經 郄門(극문)  심장병,늑간신경통,신경성 심계항진,딸꾹질
완횡문 대릉 5/12
 手少陽三焦經 會宗(회종)  심통(협심증 등), 장염(맹장염), 이롱,비통(臂痛)
완관절 3, 지구의 척측옆. 척골의 요측연
足少陽膽經 外丘(외구) 광견병,  전간, 두통, 간염
외과첨 7/16, 비골전연.
足厥陰肝經 中都(중도) 자궁출혈, 산기(疝氣)
뼈위에 있는 , 내과첨 7/15. 붕루
음교맥 交信(교신) 항강증, 하지통
(신경) 교신8(음교맥의 극혈) : 복류앞 0.5, 삼음교 1
음유맥 築賓(축빈) 방광염, 신장염
(신경) 축빈9(음유맥의 기시혈, 극혈) : 태계 5/15 --해독작용
양교맥 跗陽(부양) 두통, 요통
(방광) 부양59(양교극) : 곤륜위 3
양유맥 陽交(양교) 투통, 간염
() 양교35(양유맥의 극혈) : 외과첨 7. 비골후연

 

 

 

4)모혈(募穴) 유혈

장부의 기가 흉복부의 특정한 부위에 모여 있는 경혈로

병이 처음 발생했을 때에는 발열하고

동통이 있는 양병의 증상이 음의 부위인 배에 . 경결이나 압통등이 잘 나타나 

치료 효과도 이 반응점에서 크다

 

모혈의 '모'는 모결 또는 집결한다는 뜻이므로,

모혈은 장부의 맥기가 많이 집결되는 곳으로,

장부의 병변시에 압통, 경결, 과민 등의 반응을 나타내므로 

장부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혈이다.

모혈은 음의 부위인 흉복부에 산재하여 복부 정중선(임맥)상에 반수가 있고 또, 좌우 대칭으로 존재하는 것이 반수이다. 

따라서, 장부의 명칭과 똑같은 경락상에 있는 것은, 폐, 담, 간의 셋뿐이고, 

나머지는 다른 경맥에 속해 있다.

모혈에 사기 침입이 많다는 것은, 모혈쪽에 실증이 발생한다는 것이고, 거기가 진단점이기도 하고 치료점이기도 하다는 뜻이 된다.(, 모혈은 사기(실증) 치료에 쓰인다)

 

유혈의 '유'는 '수(나를 수)'라는 뜻이므로, 유혈은 맥기를 수송하는 곳이며, 

모두 양의 부위인 배부 방광경의 제1측선(배내선)상에 있는 혈들이다.

유혈은 장부의 이름 다음에 '유(점점 유)'자를 붙이는데, 예외적으로 심포의 유혈은 궐음유라고 한다.(고전에는 없음)

내장에 병변이 있을 때, 그 장부가 소속된 척수 탱크에 해당하는 부위에 압통, 과민, 근의 강직 등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장부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혈이다.

 

모혈과 유혈에는 음양 표리 관계가 있다.

즉, 맥기는 "음에서 양으로 가고, 양에서 음으로 간다.

음에서 양을 제하고, 양에서 음을 제한다." 등과 같이, 

흉복부와 배요부는 진단점이나 치료점으로써 중요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풍사로 인한 사기가 폐유(유혈)로 수송되고 이어서, 중부(모혈)로 집결되는 것을 

"양에서 음으로 간다."라 하고,

중부에 침, 구를 시행하여 풍사를 낫게 하는 것을 "음에서 양을 제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