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침과뜸49 14경맥 혈성 - 手厥陰心包經 09 수궐음 심포경 手厥陰心包經 【PC1】天池(천지): 化營衛(화영위) 淸營凉血(청영량혈) 【PC2】天泉(천천): 淸神志(청신지) 寧神安心(녕신안심) 【PC3】曲澤(곡택): 疎降上焦逆氣(소강상초역기) 淸心火(청심화) 除血熱(제혈열) 鎭痙攣(진경련) 止痛止瀉(지통지사) 【PC4】郄門(극문): 寧心安神(녕심안신) 寬胸理氣(관흉이기) 通絡止血(통락지혈) 【PC5】間使(간사): 調心氣(조심기) 淸神志(청신지) 和胃祛痰(화위거담) 通經治絡(통경치락) 【PC6】內關(내관): 疏三焦(소삼초) 寧心安神(녕심안신) 寬胸理氣(관흉이기) 和胃(화위) 鎭靜鎭痛(진정진통) 【PC7】大陵(대릉): 淸心寧神(청심녕신) 和胃寬胸(화위관흉) 淸營凉血(청영량혈) 【PC8】勞宮(노궁): 淸心火(청심화) 除濕熱(제습열) 熄風凉血(식풍량혈)..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足少陰腎經 08 족소음 신경 足少陰腎經 【KI1】湧泉(용천): 淸腎熱(청신열) 降陰火(강음화) 寧神志(녕신지) 勞厥逆(노궐역) 【KI2】然谷(연곡): 退腎熱(퇴신열) 疏厥氣(소궐기) 理下焦(이하초) 【KI3】太谿(태계): 滋腎陰(자신음) 退虛熱(퇴허열) 壯元陽(장원양) 理胞宮(이포궁) 强健腰膝(강건요슬) 【KI4】大鍾(대종): 調腎和血(조신화혈) 補益精神(보익정신) 【KI5】水泉(수천): 通調經(통조경) 疏泄下焦(소설하초) 【KI6】照海(조해): 通經和熱(통경화열) 泄火疏氣(설화소기) 淸神志(청신지) 利咽喉(이인후) 【KI7】復溜(복류): 疏調玄府(소조현부) 利導膀胱(이도방광) 祛濕淸滯(거습청체) 滋腎潤燥祛濕(자신윤조거습) 【KI8】交信(교신): 調營衛(조영위) 【KI9】築賓(축빈): 利少陰之氣(이소음지기) 【KI..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足太陽膀胱經 07 족태양 방광경 足太陽膀胱經 【BL1】睛明(정명): 疏風泄火(소풍설화) 滋水明目(자수명목) 【BL2】灒竹(찬죽): 宣泄太陽熱氣(선설태양열기) 治絡明目(치락명목) 【BL3】眉衝(미충): 泄熱開竅(설열개규) 【BL4】曲差(곡차): 泄熱開竅(설열개규) 淸頭明目(청두명목) 【BL5】五處(오처): 宣泄風熱(선설풍열) 淸頭明目(청두명목) 【BL6】承光(승광): 淸頭明目(청두명목) 【BL7】通天(통천): 淸頭開竅(청두개규) 【BL8】絡却(낙각): 經絡疏通(경락소통) 【BL9】玉枕(옥침):淸頭明目(청두명목) 【BL10】天柱(천주): 理氣淸火(이기청화) 【BL11】大杼(대저): 祛風邪(거풍사) 解表退熱(해표퇴열) 舒筋脈(서근맥) 調骨節(조골절) 【BL12】風門(풍문): 疎散風寒(소산풍한) 宣泄諸陽之熱(선설제양지열) ..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手太陽小腸經 06 수태양 소장경 手太陽小腸經 【SI1】少澤(소택): 淸心火(청심화) 散鬱熱(산울열) 開竅利乳(개규이유) 通經㓉絡(통경활락) 【SI2】前谷(전곡): 疏風泄火(소풍설화) 化營衛(화영위) 【SI3】後谿(후계): 寧心安神(영심안신) 淸熱利濕(청열이습) 通督脈(통독맥) 固表分(고표분) 【SI4】完骨(완골): 疏太陽經邪(소태양경사) 淸小腸濕熱(청소장습열) 【SI5】陽谷(양곡): 散陽明邪熱(산양명사열) 【SI6】養老(양노): 舒筋通絡(서근통락) 明目(명목) 【SI7】支正(지정): 淸神(청신) 解表熱(해표열) 疏經邪(소경사) 【SI8】小海(소해): 散太陽經邪(산태양경사) 通小腸熱結(통소장열결) 祛風氣(거풍기) 淸神志(청신지) 【SI9】肩貞(견정): 疏經絡活血利氣(소경락활혈이기) 【SI10】老儒(노유): 祛太陽經邪(..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手少陰心經 05 수소음 심경 手少陰心經 【HT1】極泉(극천): 理氣寬胸(이기관흉) 【HT2】靑靈(청영): 理氣(이기) 化營衛(화영위) 【HT3】少海(소해): 疏心氣(소심기) 淸包絡(청포락) 寧神志(녕신지) 化痰涎(화담연) 【HT4】靈道(영도): 寧心安神(영심안신) 調心氣(조심기) 鎭靜(진정) 【HT5】通里(통리): 安心寧神(안심영신) 熄風和營(식풍화영) 【HT6】陰郄(음극): 淸心火(청심화) 潛虛陽(잠허양) 安神志(안신지) 固表分(고표분) 【HT7】神門(신문): 安心寧神(안심영신) 淸化凉營(청화양영) 淸心熱(청심열) 調氣逆(조기역) 【HT8】少府(소부): 寧神志(영신지) 調心氣(조심기) 【HT9】少衝(소충): 開心竅(개심규) 淸神志(청신지) 勞厥逆(노궐역) 泄邪熱(설사열)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足太陰脾經 04 족태음 비경 【SP1】隱白(은백): 調血統血(조혈통혈) 扶脾溫脾(부비온비) 淸心寧神(청심녕신) 溫陽回厥(온양회궐) 【SP2】大都(대도): 健脾和中(건비화중) 回陽救逆(회양구역) 【SP3】太白(태백): 通經㓉絡(통경활락) 調脾和胃(조비화위) 【SP4】公孫(공손): 扶脾胃(부비위) 理氣機(이기기) 調血海(조혈해) 化衝脈(화충맥) 【SP5】商丘(상구): 健脾胃(건비위) 化濕滯(화습체) 【SP6】三陰交(삼음교): 補脾土(보비토) 助運化(조운화) 通氣滯(통기체) 疏下焦(소하초) 調血室精宮(조혈실정궁) 祛經絡風濕(거경락풍습) 【SP7】漏谷(누곡): 扶陽脾氣(부양비기) 化營衛(화영위) 【SP8】地機(지기): 和脾理血(화비이혈) 調變胞宮(조변포궁) 【SP9】陰陵泉(음릉천): 運中焦(운중초) 化濕滯(화습체) 調膀胱..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手陽明大腸經 02 수양명 대장경 手陽明大腸經 【LI1】商陽(상양): 解表退熱(해표퇴열) 淸肺利咽(청폐이인) 泄熱消腫(설열소종) 【LI2】二間(이간): 散邪熱(산사열) 利咽喉(이인후) 淸熱消腫(청열소종) 【LI3】三間(삼간): 泄邪熱(설사열) 利咽喉(이인후) 調腑氣(조부기) 【LI4】合谷(합곡): 發表解熱(발표해열) 疏風解表(소풍해표) 淸泄肺氣(청설폐기) 通降腸胃(통강장위) 鎭痛安神(진통안신) 通經㓉絡(통경활락) 【LI5】陽谿(양계): 祛風泄火(거풍설화) 疏散陽明邪熱(소산양명사열) 【LI6】偏歷(편력): 淸肺氣(청폐기) 調水道(조수도) 通眽絡(통맥락) 【LI7】溫溜(온류): 淸邪熱(청사열) 理腸胃(이장위) 【LI8】下廉(하렴): 瀉胃中之熱(사위중지열) 【LI9】上廉(상렴): 瀉胃中之熱(사위중지열) 【LI10】手三里(수.. 건강/침과뜸 2023. 11. 8. 14경맥 혈성 - 手太陰肺經 01 수태음 폐경 【LU1】中府(중부): 淸(청)宣(선)上(상)焦(초) 疏(소)調(조)肺(폐)氣(기) 【LU2】雲門(운문): 調中氣(조중기) 和腸胃(화장위) 化積滯(화적체) 【LU3】天府(천부): 洩肺熱(설폐열) 鼻衄(비뉵) 【LU4】俠白(협백): 淸熱(청열) 熄風(식풍) 止痛(지통) 【LU5】尺澤(척택): 泄肺炎(설폐염) 降逆氣(강역기) 淸上焦之熱(청상초지열) 【LU6】孔最(공최): 潤肺止血(윤폐지혈) 淸熱解表(청열해표) 理氣降逆(이기강역) 【LU7】列缺(열결): 宣疎肺熱(선소폐열) 疏經通絡(소경통락) 通利咽喉胸膈(통리인후흉격) 【LU8】經渠(경거): 咳逆喘急(해역천급) 脘痛(완통) 手足麻痺(수족마비) 淸肅上焦肺氣(청숙상초폐기) 【LU9】太淵(태연): 祛風化痰(거풍화담) 理肺止咳止痛(이폐지해지통) 淸肅.. 건강/침과뜸 2023. 11. 8. 십이장부(十二臟腑)와 경락계통(経絡系統) 십이장부(十二臟腑) 경락계통(経絡系統) 경락 계통 안(內) 12경맥(十二經脈) -기혈운행의 주요간선, 장부와 연계 경맥 (経脉=經脈) 12경별(十二經別) -경맥에서 분리된 후 다시 경맥으로 합함 (6장과 6부는 표리관계로 이어져있다->6개 쌍(육합) 기경팔맥(奇經八脈) -십이경맥을 종횡으로 연결 (임맥, 독맥, 충맥,…) 경락(經絡) 15낙맥(十五絡脈) -낙맥 중에 크고 주된 줄기 락맥(絡脈) 손락(孫絡) -낙맥보다 가늘게 분부하는 분지 부락(浮絡) -체표에 드러나는 가는 낙맥 경락 계통 밖(外) 십이경근 (十二經筋) -십이경맥 순행 부위에 분포된 근육계통의 총칭 십이피부 (十二皮膚) -십이경맥과 그 낙맥이 분포하는 피부 부위 건강/침과뜸 2023. 10. 14. 14정경(正經) 14 정경(正經) 기경팔맥(奇經八脈) 중 임맥과, 독맥은 자기의 독립된 경혈을 갖고 있고 다른 6개의 기경(奇經)인 충맥, 대맥, 양교맥, 음교맥, 양유맥, 음유맥은 12경맥(經脈) 경혈과 공유되어 부속되는 고유의 경혈(經穴)을 지니지 않는다. 그래서 12 경맥과 임맥, 독맥을 합쳐 14정경(正經)이라 부르는 것이다. 이들 14정경에 소속된 경혈들 가운데 전신요혈, 경락요혈들은 단전호흡수련, 각종 침, 뜸, 부항, 수기(手技), 찜질요법에 있어서 중요하게 사용되어진다 14정경 분류 및 기/종혈 경맥(經脈) 음양(陰陽) 14정경(正經) 기혈(起穴) 종혈(終穴) 기경 (奇經) 양경(陽經) 앞면 정중선 1. 임맥(任脈) 회음(會陰) 승장(承漿) 음경(陰經) 뒷면 정중선 2. 독맥(督脈) 장강(長强) 백회(百會.. 건강/침과뜸 2023. 10. 14. [14]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각14혈 [14]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각14혈 1. 유주 流注 ① 족궐음간경은 엄지발가락 털 난부위인 대돈에서 시작해 ② 발등을 따라 상행하여 ③ 안쪽 복사뼈 앞의 중봉을 지나 위로 상행한다 ④ 안쪽 복사뼈 위 8촌 되는 지점에서 족태음비경과 교차하여 족태음비경의 뒤로 흐른다 ⑤ 무릎내측으로 상행하여 ⑥ 대퇴부 안쪽을 따라 흐르며 족태음비경의 충문, 부사와 교회한 후 ⑦ 음모부위로 진입하여 ⑧ 음부를 돌아 ⑨ 아랫배로 상행하여 임맥의 곡골, 중극, 관원을 교회하고 ⑩ 위를 끼고 올라가 간에 속하고 담에 낙한다 ⑪ 상행하여 횡격막을 지나 ⑫ 옆구리 협륵脅肋(옆구리와 늑골)에 분포된다. (장문,기문,일월(담),연액(담),운문(폐) ⑬ 목구멍 뒤쪽을 따라 상행하여 ⑭ 목구멍[인.. 건강/침과뜸 2023. 10. 14. [13]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각44혈 [13]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각44혈 1. 유주 流注 ① 족소양담경은 눈꼬리의 동자료에서 일어나 청궁 밑 청회로 갔다가 ② 상행하여 이마 모서리 두유밑 함염에 가고, 귀 뒤 완골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옆머리를 돌아 이마를 지나 눈썹위 양백에 닿고 재차 옆머리 뒤로 돌아 ③ 귀 뒤 풍지까지 하행하여 ④ 뒷목을 따라 수소양삼소경 전면을 흐르다가 어깨 위 견정에 도달 후, 수소양삼초경의 후면으로 교차해서 하행하여, ⑤ 독맥 대추에서 좌우가 교차하여 나와 대저(방광), 병풍(소장)을 거쳐 앞쪽으로 나와 결분에 진입한다. ⑥ 지맥은 귀 뒤에서 분출하여 예풍에서 귀속으로 들어갔다가 ⑦ 다시 귀앞으로 나와 ⑧ 눈꼬리 바깥쪽에 이른다. ⑨ 다른 지맥은 눈꼬리에서 갈라.. 건강/침과뜸 2023. 10. 1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