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활19 '안 될 것 같아 vs 안 될것 같아' '안 될 것 같아 vs 안 될것 같아' 둘 중에 뭘까요? '못 할 것 같아요vs 못 할것 같아요 vs 못할 것 같아요'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의 '안되다'의 의미로 쓸 경우에는 '안될 것 같아.'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예) 이번 시험 합격은 안될 것 같아. 어떠한 기준이 제시되고,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이라면 '안 될 것 같아.'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예) 분위기를 봤을 때 어제보다는 잘 안 될 것 같아. '어떤 일을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게 하거나, 그 일을 할 능력이 없다.'의 의미로 쓰이는 '못하다'는 한 단어이므로 '못할 것 같아요.'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운전을 할 줄 알지만 운전이 서툴 경우 예) 제가 운전면허증을 딴 지 얼마 안되서 운전을 못할 것 같아요. 운전을 .. 생활 2023. 11. 16. '이에요', '이예요', '예요'가 헷갈리시는 분들. '이에요', '이예요', '예요'가 헷갈리시는 분들. '예요'는 '이에요'의 줄임말로 추측합니다. '이예요'라는 말은 무조건 틀린 말입니다. 1. 이에요' : 받침 있는 말 뒤에 씁니다. 예 ) 정말 잘 못하시는 건 도지사님이에요. 2. 예요 : 받침 없는 말 뒤에 씁니다. 예) 제가 도지사예요, 이 사람아. 생활 2023. 11. 16. '되'와 '돼'가 헷갈리시는 분들. '되'와 '돼'가 헷갈리시는 분들. 그 자리에 '하'를 넣어서 말이 되면 '되', '해'를 넣어서 말이 되면 '돼'가 맞습니다. 예 1) 되고 싶다ㅇ, 돼고 싶다 x (하고 싶다 o 해고 싶다 x) 예2) 그러면 돼 o 그러면 되 x (그러면 해 o 그러면 하 x) 이런 원리입니다. 생활 2023. 11. 16. 웬'과 '왠' 헷갈리시는 분들. '웬'과 '왠' 헷갈리시는 분들. 왜인지, 를 뜻하는 '왠지' 외에는 전부 다(!) '웬'을 씁니다. 의의로 쉽습니다. 예) 도지사가 웬 이상한 판결로 표현의 자유라나 뭐라나 무죄 선고 받고 살아 남았지만 왠지 수년 안에 신당 창당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웬만한 사람도 다같이 느끼는 감정이겠지요? 생활 2023. 11. 16. '대'와 '데'가 헷갈리시는 분들. '대'와 '데'가 헷갈리시는 분들. 1. '대'는 누군가의 말을 옮겨쓸 때 씁니다. 2. '데'는 말이 이어질 때(붙임)와 '장소'(띄움) 등을 말할 때 씁니다. 예문) 국민의힘 원내대표님 자꾸 그러시는데 여기는 그러실 데가 아닙니다. 누가 그러대요. 대구 수성 사는데 다른 데서 살고 싶다고요. 생활 2023. 11. 16. 여덟[여덥/여덜] 발음 여덟[여덥/여덜] 발음 '여덟'의 발음은 [여덜]일까요, [여덥]일까요? '읽고'는 [일꼬]로 읽을까요, [익꼬]로 읽을까요? 겹받침의 발음법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제10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넓-죽하다’와 ‘넓-둥글다’의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따라서 '여덟'은 [여덜], '읽고'는 [일꼬]가 맞는 발음입니다. 또 '넓지'는 [널찌]이지만, '밟지'.. 생활 2023. 11. 16. '뿐' 띄여쓰기 '뿐' 띄여쓰기 [1] 뿐 : 「조사」(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 또는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문) 이제 믿을 것은 오직 실력뿐이다. 우리 민족의 염원은 통일뿐이다. 가진 것은 이것뿐이다. [2] (~할) 뿐 : 「의존명사」 1. (어미 ‘-을’ 뒤에 쓰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2.(‘-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여)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 (예문) 모두들 구경만 할 뿐 누구 하나 거드는 이가 없었다. 학생들은 약간 기가 질려서 눈만 말똥거릴 뿐 대뜸 반응은 없다 그는 웃고만 있을 뿐이지 싫다 좋다 말이 없다. cf. * '뿐'은 조사이기에 "뿐만 아니라" --> "그뿐만 아니라" 처.. 생활 2023. 11. 16. 안 vs. 않 맞춤법 안 vs. 않 맞춤법 '안'과 '않' 헷갈리시는 분들. 의외로 간단합니다. 앞에 쓸 때는 '안', 뒤에 쓸 때는 '않'을 씁니다. ('않'은 아니하다, 의 줄임말.) 또 하나, '안'은 무조건 띄어 씁니다. 예) 가을은 안 올 수가 없어. 계절이 바뀌지 않은 적은 없거든. ('오다'의 앞에 '안', '바뀌다'의 뒤에 '않') 생활 2023. 11. 16. 한국인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 4개 한국인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 4개. 1. 게/ 께 --> '게'가 맞습니다. ==> 누구께(~에게)로 쓰이는 것 외에는 다 '게' 곧 밝힐게 ○ 곧 할게 ○ 그럴게 ○ 아픈데도 군대에 갈게 엄마 ○ 다녀올게 ○ 2. '~이었다'/ '~이였다' --> '~이었다'가 맞습니다. 예 ) 추 장관 아들 의혹은 다 거짓이었습니다. 후대에 길이 남을 정치쇼이었지요. 3. 어떻해/ 어떡해 --> 어떡해, 가 맞습니다. 예 ) 어떡하라고요! 아픈데 군대 간 게 잘못입니까? 너네들은 온갖 핑계로 아예 안 갔잖아요. 4. 오랫만에/오랜만에 --> 오랜만에, 가 맞습니다. 예 ) 오랜만에 호재 만났다고 막 떠드는데 오래 전 얘기지만 자료 다 있습니다. 적당히들 하세요. 생활 2023. 11. 16. 해외쇼핑몰 테무(TEMU) 사용 후기 등 정보 공유 해외쇼핑몰 테무(TEMU) 최근에, 초저가 상품을 앞세운 중국 기반의 쇼핑 앱이 미국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바로 ‘테무(Temu)’다. 지난 2022년 9월 처음 출시돼 이후 단 5개월 만에 아마존과 쇼피파이는 물론, 요즘 잘 나가는 초저가 패션 브랜드 쉬인(Shein)까지 제치고 쇼핑 앱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동안은 잘 몰랐는데, 최근에 보니 한국에서도 사이트가 오픈되어 판매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그동안 해외 배송 거래가 불투명하고 불안했는데, 테무(TEMU)는 이러한 소비자 욕구를 채워 줄 수 있는 사이트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관련 정보를 공유해 본다. 테무(TEMU)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 테무 웹사이트 링크가 우연히 검색되어서 살펴 보았는데, .. 생활 2023. 11. 2. Noto Sans 폰트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우리는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폰트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중에서 Noto Sans 폰트는 많은 사이트와 사람들에게 애용되고 있는 폰트입니다. 노토산스(Noto Sans) 폰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NOTO SANS 폰트에 대해서 Noto Sans는 Google이 개발한 무료 글꼴입니다. "Noto"라는 이름은 "no tofu"의 줄임말로, 이는 모든 유니코드 문자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알 수 없는 문자(흔히 'tofu'라고 불리우는 작은 사각형)를 보지 않도록 하기 위한 Google의 목표를 나타냅니다. Noto Sans 글꼴 패밀리에는 다양한 언어와 스크립트를 지원하는 여러 버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to Sans KR은 한국어 텍스트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Noto Sans JP는 일본어.. 생활/IT 2023. 10. 11. 미넴 스킨 (Mynem Skin)의 '커버 기능' 사용 (2) : 미처 못 본 메뉴 내용 지난번 '커버기능' 사용 글을 사용할 때, 제대로 이해를 못한 상태에서 사용법을 살펴보았었는데, 미처 보지 못한 부분이 있었네요. 다시 잘 살펴 보니, 상당히 완성도 있는 커버기능이 구현되어 있었네요. 미넴 스킨에서 제공하는 티스토리 첫페이지 구성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커버 기능을 제대로 살펴 보겠습니다. 미넴에서 제공하는 커버 기능 메뉴로 들어가기 다시 커버 기능을 살펴보려고 스킨편집 메뉴로 들어 와 보았습니다. 오른쪽 [스킨편집] 메뉴에 [커버]라는 탭이 있었는데, 그 때는 보지를 못했었다. 커버 메뉴에서 커버 아이템 추가하기 커버 탭으로 들어가니,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커버 아이템 추가"라는 게 있다. 클릭해서 들어가면 이렇게 나온다. 커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드롭다운 메뉴가.. 생활/IT 2023. 10.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